20250622 CIC 활동보고서 12 6.25기념 인천지역 기억과 감사의 달 대장정 -월미도 > 활동보고서

활동내용 및 보고서

활동보고서

활동보고서

20250622 CIC 활동보고서 12 6.25기념 인천지역 기억과 감사의 달 대장정 -월미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지훈 작성일25-08-10 22:01 조회150회 댓글0건

본문

6.25기념 인천지역 기억과 감사의 달 대장정 2025 3차

월미도 : 인천 중구 북성동1가 98-352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294

우리는 마지막 기억과 감사의 대장정 코스로 월미도로 향했습니다.

인천상륙작전은 월미도 확보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맥아더는 이 섬과 그 위에 배치된 포병부대가 상륙작전의 최대 위협 요소임을 간파했고, 따라서 가장 먼저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월미도는 인천으로 향하는 관문이었습니다.

이 섬은 반달 모양이라 '월미도(月尾島)'라는 이름이 붙었고, 강화도만큼 크지는 않지만 조선 역사에서 종종 언급되었다고 합니다.

1655년, 효종은 전란 시 강화도로의 피신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월미도에 별궁을 짓도록 명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 흔적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항구로 사용되었고, 1920년대에는 일본인을 위한 유원지로 개발되어 수영장, 고급식당 등이 운영되었습니다.

젊은이의 놀이장소로 운영되다 최근 환경을 정화하고 정비하여 가족단위의 놀이문화가 발전했으며 24년12월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개관되면서 인천지역의 월미도의 과거와 미래를 한눈에 볼수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제 역사적인 기억은 희미하지만 월미도는 우리가 민주주의로 남아있을수 있는 또하나의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임을 잊지말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를 지키기위한 독립투사들의 목숨을 건 희생과 타국임에도 민족애를 가지고 희생해준 다양한 나라의 많은 분들에게 우리는 감사와 존경을 전하고 우리도 그 뜻을 잊지말고 애국심과 자긍심을 가지고 우릴 도운 나라들에 도움을 줄수있는 힘과 민주주의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6길 14 국제교류문화진흥원 Tel. 02-3210-3266 Fax. 02-6944-9465
Copyright ⓒ 청소년국가유산지킴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