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활동 보고서 연천 심원사지 부도군(2022.10월) > 활동보고서

활동내용 및 보고서

활동보고서

활동보고서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활동 보고서 연천 심원사지 부도군(2022.10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겸 작성일22-10-31 14:58 조회7,16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활동 보고서 

연천 심원사지 부도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2022.10월 3차 정기답사 및 지킴이 활동)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 342-1

 







심원사지 부도군은 본래 20여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12기의 부도탑과 3기의 비석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부도들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형식인 팔각원당형과 고려시대 말에서 조선

시대에 걸쳐 유행하였던 석충형을 취하고 있습니다.

 

비석은 취운당 대사비, 제월당 경험대사비, 박씨 공덕비이며 부도는 연월당 부도, 풍담당 부도, 청하당 부도, 호연당 부도, 청심당 부도 그리고 불명부도 등이 있습니다.















 

 

 

 

 

 

 

 

 




가을로 접어들면서 잡초는 여름에 비해 자라지 않은 편입니다.










박씨 공덕비의 상태를 살펴 보았습니다.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다른 부도들과 함께

잘 보존된 형태입니다. 









전쟁으로 인해 파손된 부분으로 인해 알아볼 수 없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이 보존이 잘 되어 비문 읽기가 가능합니다.







알림판의 글씨가 지워지고 있어 계속 살펴 볼 예정입니다.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가 되면 보수가 필요할 듯 싶습니다.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등산색의 방문이 금지되어 있는 등반로 입니다.

(원심원사의 부도군들이 울타리 너머로 보입니다)










담배 꽁초로 인해 산불이 날 수 있고,

화재 진압(방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예방이 철저히 필요한 곳입니다. 그러나,












등반로 이용이 금지되어 있고 근처에 군부대가 있음에도 

단풍철이기 때문인지 행락객 및 등반객들의 쓰레기가 이곳저곳 발견되었습니다

바싹 마른 낙엽에 담배 꽁초라니, 안타까운 부분입니다.

단백질바는 등산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압니다.



어린이가 열심히 쓰레기를 수거하였습니다. 












아름다운 풍경만큼 화재로부터 안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활동하였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6길 14 국제교류문화진흥원 Tel. 02-3210-3266 Fax. 02-6944-9465
Copyright ⓒ 청소년국가유산지킴이. All Rights Reserved.